유은경은 충청도 산골에서 태어나 자랐다. 아버지에게 받은 DNA덕분에 자연스레 산을 찾게 되었고 산이 품고 있는 꽃이 눈에 들어왔다. 꽃, 그 자체보다 꽃들이 살고 있는 곳을 담고 싶어 카메라를 들었다. 카메라로 바라보는 세상은 지극히 겸손하다. 더 낮고 작고 자연스런 시선을 찾고 있다. 앞으로 매달 2회 우리나라 산천에서 만나볼 수 있는 꽃 이야기들을 본지에 풀어낼 계획이다.
- 편집자 주

진달래가 지고 나서도 한참 뒤인 지금, 더운 한여름에 피어 있다. 옹기종기 모여서 진달래라는 이름을 달고 말이다. ‘꼬리진달래’를 찾아 나선 길은 아니었으나 호기심에 들어가 본 임도 주변으로 잔뜩 피어 있어 한아름 선물 받은 기분이었다.

더욱 놀라운 것은 침엽수도 아닌 것이 한겨울에도 푸르다는 사실이다. 따듯한 남쪽지방이 아니고 경북, 충청과 강원도 일부의 높은 곳에 살고 있다.

1-2m의 그리 크지 않은 진달래과(科) 나무이며 ‘참꽃나무겨우살이’라는 별명도 있다. 진달래가 참꽃이고 한겨울에도 푸르른 모습이 겨우살이를 생각나게 해서일 것이다.

6~7월에 피는 꽃은 한 송이처럼 보이지만 작은 꽃 20여 개가 모여 있다. 황색 꽃밥을 달고 길게 밖으로 삐져나온 열 개의 수술이 아주 매혹적이다. 옹기종기 모여 피어 있는 모양이 강아지의 복스러운 꼬리 같아 보여 그리 이름이 지어졌겠다.

몇 해를 시기를 못 맞추어 갈색으로 변해가는 아이들만 만났었는데 올해는 제때에 활짝 피어있는 꽃을 만났다.

화려하지는 않지만 멋진 나무임에 틀림없다. 한국특산종으로 보호는 물론 더욱 연구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는 생각이다. 성장속도가 느리고 사는 곳이 그리 많지 않다는 것도 한몫 할 테고.

꽃을 피우는 나무들이 드문 한여름에 말갛게 피어나는 것은 주목받고 받고 싶어 택한 생존 방법이겠다. 추위에 강하고 특히 더위 속에서 ‘꼬리진달래’는 더욱 그 빛을 발한다. 조경용으로도 참 멋질 것 같은데 전문가들의 관심을 기대해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