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은경은 충청도 산골에서 태어나 자랐다. 아버지에게 받은 DNA덕분에 자연스레 산을 찾게 되었고 산이 품고 있는 꽃이 눈에 들어왔다. 꽃, 그 자체보다 꽃들이 살고 있는 곳을 담고 싶어 카메라를 들었다. 카메라로 바라보는 세상은 지극히 겸손하다. 더 낮고 작고 자연스런 시선을 찾고 있다. 앞으로 매달 2회 우리나라 산천에서 만나볼 수 있는 꽃 이야기들을 본지에 풀어낼 계획이다.
- 편집자 주

괭이눈 중 어느 괭이눈이 좋을까 생각하다 ‘천마괭이눈’으로 정했다. 제일 먼저 만났고 제일 먼저 이름을 알았으며 제일 눈에 띠는 화려한 금빛이어서가 제일 큰 이유다. 그때는 ‘선괭이눈’이나 ‘산괭이눈’을 만났어도 ‘금괭이눈’으로 알았을 거다.

게다가 금괭이눈, 천마괭이눈으로 구별돼 불리다가 최근 ‘천마괭이눈’으로 통합된 따끈한 이슈가 있기도 해서다. 천마산에서 처음 발견됐다는 사실이 힘을 얻었나 부다. 괭이눈의 대명사라 해도 과장은 아닐 것이다.

계곡 물가를 좋아한다. 괭이눈이라 이름 붙인 것은 꽃이 진 후 맺히는 씨앗의 모양이 고양이 눈을 닮아서다.

대부분의 괭이눈 잎들은 꽃이 필 무렵이면 노랗게 변해 꽃보다 더 화려하게 빛난다. 벌과 나비를 더욱 많이 불러들여 후손을 풍성하게 남기려는 이 생존전략에 천마괭이눈이 앞장서고 있다. 수정이 끝나면 원래의 이파리색으로 돌아간다.

들여다볼수록 화려하기 그지없다. 무리지어 핀 모습은 금가루 속에서 장난친 어린아이처럼 배시시 웃고 있다.

한 칸, 한 칸 작은 방에 꼭꼭 숨겨둔 것을 무엇일까? 하나, 두울, 세엣, 네엣… 네 개의 문을 열어보고 싶다.

네모난 꿈을 품고 키우는 네모난 계절이 '불쑥!' 튀어나올런지도 모르겠다. 행복한 상상을 하게 만들어 주는 천마괭이눈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