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처럼 국민들도 주치의 두어야"
상태바
"대통령처럼 국민들도 주치의 두어야"
  • 이인문·안은선 기자
  • 승인 2020.05.12 17: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코로나19 긴급토론회]⑥ 질의응답: 의사인력은 부족하지 않는가?

지난 7일 코로나19 판데믹 2차 확산에 대비해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 논의하는 긴급 토론회가 보건연합 등 3개 단체 공동주최로 개최됐다. 본지 후원으로 열린 이날 토론회는 코로나19 확산에 대비해 정부는 지금부터 실질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취지 아래 의료현장에서 코로나19와 싸워온 의료인들의 목소리를 직접 전달하는 형식으로 진행됐다. 이에 본지는 이날 진행된 토론회 내용을 6차례로 나누어 소개하고자 한다.

- 편집자 주

지난 7일 '코로나19 판데믹 2차 확산 대비, 보건의료 현장 무엇을 준비할 것인가'를 주제로 열린 긴급 토론회에서는 발표 후 질의응답 시간을 가졌다.
지난 7일 '코로나19 판데믹 2차 확산 대비, 보건의료 현장 무엇을 준비할 것인가'를 주제로 열린 긴급 토론회에서는 발표 후 질의응답 시간을 가졌다.

본지가 후원한 긴급토론회 ‘코로나19 판데믹 2차 확산 대비, 보건의료 현장 무엇을 준비할 것인가’질의응답 시간에는 ▲방역과 달리 치료대응에서 실패한 이유 ▲코로나19 등 감염병 사태에 대응하기 위한 의사인력은 부족하지 않은지 ▲중대본이 발표한 호흡기전담클리닉의 현실성 여부 등에 대한 질문이 쏟아졌다.

먼저 정의당 윤소하의원실 공석환 비서관의 온라인 질문 "의사인력의 경우 과연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공공의대 49명만으로 감염병 사태 대응이 가능한지? 기존 의대 정원을 늘려서 장기적 의사인력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은지"에 대해서는 보건연합 정형준 정책위원장이 답했다.

그는 "공공의대 설립은 당연히 동의하며 이외에도 벌써 십수년 전부터 보건의료운동단체들은 기존 국립의대 정원을 20∼30%로 증원해 전액 국가장학생으로 선발, 해당 지역에서 10년 이상 근무케하는 제도를 도입하자고 주장해왔다"면서 "다만 인원만 늘려서는 안 되며 공공의료기관 확충과 병해해 증원된 의사인력이 공적인 의료현장에서 실제 근무할 수 있는 인프라부터 만들고 그에 준하는 인력배치를 함께 해가야 한다. 지금까지 간호인력을 많이 증원해왔지만 실제 현장에서 체감할 수 없었던 것도 배출된 간호인력들이 근무할 수 있는 공공의료인프라가 부족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어진 질문은 인권운동네트워크 바람의 명숙 상임활동가의 '방역과 달리 치료 대응에서 실패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에 대한 질문이었다.

이에 대해 정형준 정책위원장은 "수익성 중심의 민간주도의료체계와 컨트롤 타워의 부재가 그 원인"이라며 "대구에서의 성공이라는 것도 확진자들의 나이가 젋었고, 전국의 의료자원을 모두 끌어다 대응했으며 타 지역에서 방역 대응을 철저히 하면서 대구지역과 같은 대량의 확진자들이 발생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그는 "이런데도 정부는 대구에서 경험을 토대로 생활치료센터와 협력병원, 전담병원의 체계로 2차 확산에 대비하려 하고 있다"며 "이같은 체제로는 기존 의료자원이 충분한 서울과 경기지역만 대응이 가능할 뿐 나머지 지역에서는 작동하기가 어렵다"고 피력했다.

인의협 우석균 공동대표도 "대구에서 초기 5,000명의 확진자들이 발생했을 때 충남대와 충북대, 부산대, 경상대 병원은 물론 부산과 경남의 모든 공공병원과 서울의료원까지 확진자들을 수용했다"며 "ICU는 적시운영체계로 평상시 90% 이상 차 있어 별도의 공공감염병원을 통해 대응해야 하며 질본에서 방역이 아닌 치료대응까지 할 수 없는 만큼 치료 중심의 국공립네트워크와 공공의료지원단 설치를 통해 대응해나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중대본이 발표한 호흡기전담클리닉 1천개 설치가 현실성 있는 대안이냐는 오마이뉴스 강현주 기자의 질문에도 정형준 정책위원장은 "호흡기전담클리닉은 부수적인 것으로 코로나19 등 감염병 사태 발생시 감기 등 호흡기 외래환자의 치료를 위한 기관"이라며 "성공 여부는 의문이지만 민간의료 중심으로 진행해도 무방하다"고 밝혔다.

대구경북 인의협 김동은 기획국장도 "호흡기전담클리닉보다는 전 국민 주치의제로 대응해야 한다"면서 "현재도 코로나19외 감기 등 호흡기질환 환자들이 어느 병원으로 가야 할지 혼란스러워하는데 만약 주치의제도가 있다면 담당 주치의와 상의하면 문제가 바로 해결될 수 있다. 이제는 대통령만이 아니라 모든 국민들이 주치의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