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위생논단] 산업구강보건에서 치위생사의 역할
상태바
[치위생논단] 산업구강보건에서 치위생사의 역할
  • 편집국
  • 승인 2004.02.05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산업구강보건의 중요성
학교에서 실천하는 구강보건을 학교구강보건이라고 하듯, 산업장에서 실천하는 구강보건이 산업구강보건이다. 즉 산업구강보건은 산업에 종사하는 근로자에게 발생되는 구강상병을 관리하는 활동이다. 산업구강보건은 성인구강보건의 핵심적인 분야이며 국가 경제의 기반이라고 봐야 한다. 그럼에도 지금까지 이러한 산업구강보건은 우리나라에서 방치되어 왔다. 우리나라 인구의 67%가 성인이고, 성인들의 대부분이 산업장에서 산업에 종사하는 근로자이기 때문에 산업구강보건은 성인구강보건의 핵심이라고 봐야 한다.

2003년 한국산업구강보건원이 주최한 공청회가 있었다. 이날 공청회에는 산업장 노동자들과 관계있는 부처의 정부관계자, 노동자, 학계, 그리고 전문가들이 참여했다. 이날 발표자들의 공통된 의견은 산업장 근로자들의 구강보건을 위한 관리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이를 위한 방안으로 정기적 검진과 구강보건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주기적 검진의 필요성
산업장의 근로자들을 대상으로는 이뤄질 수 있는 구강보건사업은 일반구강상병과 직업구강상병의 관리이다. 이 중 직업구강상병은 주기적 검진과 치료로 이어져야 한다. 산업장의 근로자들이 주기적으로 자신들의 구강을 검진받고 구강 내에 발생한 상병들을 조기에 치료받을 수 있어야 한다.

직업구강상병관리 외에 일반상병에 대해서도 주기적 검진과 치료를 받을 수 있어야 한다. 이 경우 중점 관리 구강병은 치아우식증과 치주조직병 그리고 기타 구강병이어야 한다.
미국 테네시주의 산업장의 경우 치아우식증과 치아주위 조직병으로 인해 1일에서 7일까지 결근한 자는 결근자 1,000명 중 47.3명이었다고 보고하였다. 이러한 결근에 의한 생산성 저하는 구강상병의 예방과 치료에 소요되는 비용보다 훨씬 많았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대부분의 근로자들은 자신의 구강내에서 발생하는 구강질환이 자신의 직업과 연관되어있다는 것을 알고 있는 경우가 드물다. 우리나라의 경우 1994년 노동부가 산취급 근로자에게서 발생하는 직업성 치아부식증을 법정직업병으로 지정하여 황산, 염산, 질산, 불소 및 염소 등의 다섯가지 산을 취급하는 근로자의 직업구강상병검진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산업현장에 종사하는 근로자들의 구강관리를 위해서는 주기적 구강검진과 치료로 이어지는 제도가 필요하겠으나 산업장과 치료시설의 접근도가 용이하지 않을 경우 조기치료는 이뤄지기 힘들다. 그러므로 1,000명 이상의 근로자가 근무하는 산업장에는 치과진료시설을 갖춘 치과의료기관의 설치가 필요하다. 그리고 산업장내의 치과의료기관에는 반드시 치과위생사가 배치되어 근로자들의 구강관리를 해야 한다.

치과위생사의 역할
이에 산업구강보건 현장에서 치과위생사들은 다음과 같은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첫째 구강보건교육을 실시한다. 근로자들에게 자신의 구강건강을 올바로 관리 할 수 있는 행동 및 태도뿐만 아니라 구강병 예방의 중요성과 자신의 구강건강을 위한 중요한 행동이 무엇인지를 알게 해야 한다.

또한 자신의 직업과 관련된 직업성 구강병을 인지하고 주기적 검진을 받을 수 있게 동기를 부여해야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미래지향적인 안목으로 산업장 근로자의 구강병을 관리할 수 있게 해야 한다. 이 모든 것들이 구강보건교육을 통해 가능하다.

둘째 구강보건교욱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산업장마다 종사하는 직업활동에 따라 위험에 노출되는 직업병과 그에 대한 예방법들이 상이하다. 그러므로 직업성 구강병들이 발생할 수 있는 산업장별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 특성화된 구강보건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셋째 홍보물을 제작 보급한다. 산업현장의 근로자들에게 가장 효과적인 구강사업은 1년을 주기로 계속구강건강관리사업을 실시하는 것이다. 산업장의 상황에 따라 현장방문 순회 구강보건교육을 실시할 수 없는 곳의 근로자들과 고용주들에게 구강상병의 관리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홍보물을 제작하여 보급하는 일이다.

성인학습자들은 얻고자하는 교육적 기대와 본인이 가진 자아 개념이 일치할 때 학습의 효과는 극대화되며, 자신들이 가진 경험을 자극함으로써 교육적 기대가 높아진다. 또한 욕구를 인식하는 방향에서 교육이 이뤄지고, 현재 당면한 생활문제들에 대해 보다 적절히 대처하고자 하는 특성이 있다.

그러므로 산업장의 성인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구강보건교육을 통해 구강관리에 대한 욕구들을 파악하여 그들이 당면한 구강의 문제점들에 대한 관리를 해줌으로써 구강건강관리에 대한 동기 부여를 해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과정은 구강보건교육을 통해 이뤄지며 치과위생사들이 산업현장에서 행할 수 있는 역할이 아닐까 한다.

황윤숙(극동정보대 교수)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